[Git] 04. 깃허브로 백업하기
·
👩🏻‍💻STUDY/Git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HTML] HTML 마크업
·
👩🏻‍💻STUDY/HTML
[HTML] HTML 마크업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은 웹을 이루는 기초적인 구성 요소이다. HTML은 웹 콘텐츠의 의미와 구조를 정의할 때 사용한다. "Hypertext"란 웹 페이지를 다른 페이지로 연결하는 링크를 말한다. 링크는 웹의 근본적인 속성이다. HTML은 웹 브라우저에 표시되는 글, 이미지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마크업"을 사용한다. HTML5 메인 메뉴 콘텐츠 모델 아웃라인 알고리즘 콘텐츠 모델 이란? 어떤 요소에 어떤 콘텐츠를 포함해야 하는지 또 어떤 요소가 어떤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지를 정의한 것을 말한다. 메타데이터 콘텐츠 Metadata 콘텐츠는 다른 콘텐츠의 표현과 행동을 설정하거나 문서와 문서의 관계를 설정할 때 사용한다. 플로우..
[Git] 03. 깃과 브랜치
·
👩🏻‍💻STUDY/Git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Git] 02. 깃으로 버전관리하기
·
👩🏻‍💻STUDY/Git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GIt] 01. 깃 시작하기
·
👩🏻‍💻STUDY/Git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JavaScript] JavaScript 삽입방식과 위치
·
👩🏻‍💻STUDY/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삽입방식과 위치 1. 자바스크립트 삽입방식 자바스크립트를 실행하는 방법은 문서 안에 type="text/javascript" 부분은 HTML5에서는 생략 가능. 문서의 어느 곳이든 스크립트 배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1번 사용할 경우 :: 간단한 스크립트의 경우이거나 해당 문서에만 적용되는 코드들, 초기화 등에 자주 사용. 2번 사용할 경우 :: 반복사용되는 코드들을 파일별로 저장해두고 필요에 따라 사용. 이와 같은 방식이 코드의 가독성과 실행순서, 의존성들을 확인하기에 수월하기 때문에 추천되는 방식. 2. 자바스크립트 삽입 위치 브라우저는 HTML의 구조와 CSS 스타일을 렌더링하는 도중 자바스크립트를 만나게 되면 이에 대한 해석과 구현이 완료될 때까지 브라우저 렌더링을 멈추게 된다. 즉..
[JavaScript] 문서의 로드시점 - onload / DOMContentLoaded
·
👩🏻‍💻STUDY/JavaScript
문서의 로드시점 - onload / DOMContentLoaded 💡일반적으로, 스크립트 문서의 마지막 이전에 삽입하면 굳이 이벤트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을 처리할 필요가 없다. 다만, 문서의 영역에 스크립트가 삽입되거나, 외부의 파일에 정의되어 있다면 이벤트를 문서의 로드 시점에 맞게 처리해야 한다. 1. onload 문서의 모든 콘텐츠(images, script, css, etc)가 로드된 후 발생하는 이벤트. (load 이벤트라 한다.) window.onload = function() { // 실행될 코드 } 문서에 포함한 모든 콘텐츠가 로드된 후 실행되므로 불필요한 로딩 시간이 추가될 수 있다. 동일한 문서에 오직 onload는 하나만 존재해야 한다. 중복될 경우, 마지막 선언이 실행 외부 라이브러..
웹 표준성(Web Standards)
·
👩🏻‍💻STUDY/Publishing
웹 표준성(Web Standards) 웹 표준이란? 사용자가 어떤 브라우저나 기기를 사용해도 내용을 동일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것. 표준화 단체인 W3C가 권고한 표준안에 따라 웹을 작성할 때 이용하는 HTML, CSS, JavaScript 등에 대한 규정이 담겨 있다. 웹 표준 준수는 웹 접근성 준수를 위한 핵심이다. 즉, 웹 접근성이 더 큰 개념이며. 웹 표준은 웹 접근성을 구현하기 위한 부분적 요소다. 웹 표준 관련 기술의 소개 구조 (X)HTML 표현 CSS 동작 Script 1. 구조 언어 (X)HTML & XML HTML5는 특정 플러그인에 의존하지 않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 많은 기업들이 HTML5의 표준화에 힘을 보태고 있고, Firefox, Opera, Safari, Chrom..